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관련

유선통신의 역사: 광섬유 통신

반응형

 

광섬유 통신은 유선통신의 가장 혁신적인 발전 중 하나로,

오늘날 초고속 인터넷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한 핵심 기술입니다.

이 글에서는 광섬유 통신의 발명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현대 사회에 미친 영향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광섬유 통신의 정의와 원리

 

 

광섬유란 무엇인가?

광섬유(Fiber Optic)는 가느다란 유리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섬유로, 빛 신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입니다.

기존의 금속 기반 전선이 전기 신호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광섬유는 빛을 이용해 더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광섬유의 작동 원리

빛의 전송: 빛 신호가 광섬유 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전반사 원리: 광섬유 내부의 반사로 빛이 손실 없이 장거리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속도와 대역폭: 빛은 전자보다 훨씬 빠르게 이동하며, 광섬유는 대규모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높은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2. 광섬유 통신의 역사

 

 

1) 초기 연구와 발명

1966: 영국의 물리학자 찰스 카우(Charles Kao)가 광섬유를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는 개념을 처음 제안했습니다. 그는 빛을 유리 섬유를 통해 전송할 수 있음을 증명해 "광섬유의 아버지"로 불립니다.

1970: 미국의 코닝(Corning)사가 손실률이 낮은 상용 광섬유를 개발했습니다. 이는 광섬유 통신 상용화의 첫걸음이었습니다.

2) 1980년대: 광섬유 통신의 상용화

광섬유는 198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했습니다. 기존의 구리선과 동축 케이블에 비해 뛰어난 전송 속도와 안정성 덕분에, 통신 산업에서 빠르게 채택되었습니다.

해저 광케이블: 1988, 최초의 대서양 횡단 해저 광섬유 케이블(TAT-8)이 설치되었습니다. 이는 대륙 간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3) 1990년대: 인터넷의 도약과 광섬유

1990년대에는 인터넷이 급격히 확산되면서 광섬유 통신 기술이 필수적이 되었습니다. 특히, 대량의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센터와 국가 간 네트워크 구축에 광섬유가 활용되었습니다.

3. 한국에서의 광섬유 통신 발전

 

한국의 광섬유 도입

한국은 1990년대 초부터 광섬유 통신망 구축에 집중하며 IT 강국으로 도약했습니다.

1993: 한국통신(KT)이 전국에 광섬유 기반 통신망을 구축하기 시작했습니다.

(뭐 거진 대한민국의 유선통신의 발전은 KT로 시작하고 이뤄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책임 회피를 위한 문어발식 계열사 분열 등 회사 운영이나 무선은 개판이지만 유선만큼은 인정

 

2000년대 초: 광케이블을 가정에 연결하는 FTTH(Fiber to the Home) 기술이 상용화되었습니다.

이는 전 국민이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주요 성과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 세계 1: 광섬유 기술 덕분에 한국은 2000년대 초반부터 인터넷 속도와 보급률 면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해저 광케이블 네트워크: 한국은 국제 인터넷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일본, 미국 등과 연결되는 해저 광케이블 네트워크를 구축했습니다.

 

4. 광섬유 통신의 장점과 단점

 

장점

초고속 전송: 광섬유는 기존의 구리선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수백 배 빠릅니다.

신호 손실 감소: 장거리 통신에서도 신호 손실이 거의 없어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합니다.

보안성 강화: 광섬유는 전자기 간섭을 받지 않기 때문에 해킹이나 데이터 도청의 위험이 적습니다.

대규모 데이터 처리: 넓은 대역폭을 통해 동시다발적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단점

높은 초기 비용: 광섬유 설치에는 고도의 기술과 높은 비용이 필요합니다.

취약성: 광섬유는 물리적으로 구부러지거나 파손되기 쉬워 관리와 유지보수가 까다롭습니다.

 

저도 설치 , A/S를 많이 다녀봐서 알지만 안에 유리 섬유기 때문에 타카를 박거나 좀 세게 꺾이면 깨집니다.

그래도 검정색 외선이 유연하고 튼튼하긴 하지만 노란색 OJC(optical jumper cord) 같이 옥내용 같은경우엔

풀다가 잡아땡겨도 깨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설치 하실때 설치 기사 한테 타카 같은거 요청하지 마시고 몰딩하시는게 가장 안전하실껍니다. 

(그렇게 말씀드려도 대부분 귀찮아서 타카 박아달라고 요청들하시지만..)

 

 

5. 광섬유 기술의 현재와 미래

 

현재

 

광섬유는 오늘날 대부분의 인터넷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해저 케이블에서 핵심 기술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5G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성장은 광섬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습니다.

 

미래

 

6G와의 결합: 광섬유는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인 6G와 통합되어 더욱 빠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지원할 것입니다.

스마트 시티 구축: 광섬유는 스마트 시티의 데이터 기반 통신망으로 활용될 것입니다.

양자 통신: 빛의 특성을 활용한 양자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광섬유는 완벽한 보안성을 갖춘 차세대 통신망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광섬유 통신의 가치와 미래

광섬유 통신은 유선통신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적 도약 중 하나로,

현대 사회의 연결성을 완전히 새롭게 정의했습니다.

빠르고 안정적이며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광섬유 기술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우리의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것입니다.

한국은 광섬유 기술을 기반으로 초고속 인터넷 강국으로 자리 잡았으며,

미래의 IT 산업 발전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반응형